뉴질랜드 한인 교수 “다문화 사회, 남북통일 기반” _베토 리베이로 경찰 기자_krvip

뉴질랜드 한인 교수 “다문화 사회, 남북통일 기반” _로또 도박 게임_krvip

다문화 사회가 뿌리를 내린다면 이는 장차 남북통일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와 살고 싶을 정도라면 같은 민족인 북한도 당연히 그렇게 되지 않겠어요?" 송창주(50)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아시아학과 교수는 12일 뉴질랜드의 다문화 정책을 소개하는 발제에 앞서 다문화의 효용성을 통일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송 교수는 이날 오후 서울 명동 유네스코위원회 대강당에서 다문화 단체인 무지개청소년센터가 주최한 '해외 아동·청소년 다문화 정책비교 학술포럼'에 참석, '뉴질랜드의 이주·난민 아동 청소년 정책'이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송 교수는 "인구 420만 명인 뉴질랜드가 1987년 이민법을 개정해 아시아계 이민을 받아들인 이후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다문화가 안착했다"며 "인구 4천만 명이 넘는 한국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다고 해서 두려워할 게 없다"고 설명했다. 뉴질랜드는 원주민인 마오리족과 영국인 등 백인 이민자들로 이뤄진 '양(兩)문화주의'를 표방하며 아시아계 이민을 배척하다가 영국이 유럽연합(EU)으로 통합하며 뉴질랜드와 유대가 약화하자 지리적으로 가까운 아시아 쪽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고 송 교수는 설명했다. "애초 뉴질랜드가 이민자들의 나라였기에 아시아계 이민을 수용했습니다. 한국과는 배경이 조금 다른 셈이죠. 하지만, 그들은 두려워하지 않고 다문화를 정착시키는 등 변화를 성공의 기회로 삼았습니다." 송 교수는 특히 한국에서 결혼 이주여성이 자국어를 쓸 기회가 거의 없다는 점에 대해 "뉴질랜드는 시민권을 줄 때 영국 여왕에 충성을 서약하게 한 다음 공무원이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지키라'고 조언한다"고 소개한 후 "뉴질랜드 소수민족청은 이주민과 난민, 소수민족 등 다양한 언어가 뉴질랜드의 힘이라고 홍보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게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이민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게 뉴질랜드의 생각"이라고 풀이한 다음 "한국도 다문화를 받아들이며 좀더 용감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다문화를 수용하더라도 정체성을 지켜나갈 저력이 있고,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남북통일의 길이 보인다"고 진단하며 "다문화 사회가 정착해 외국인들이 와서 살고 싶은 나라가 된다면 수많은 탈북자도 마찬가지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송 교수는 "우리 사회에 다문화가 정착해 서로 다름을 인정하며, 포용하고 관용 있게 된다면 이는 결국 통일의 기반이 될 것이다. 살기 좋은 나라가 되는 것 자체가 통일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지난 1976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로 건너가 하와이대 동서문화센터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동유럽에서 활동하다가 2002년 뉴질랜드로 건너가 오클랜드대학 아시아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